연말에 연말정산을 하고 그 결과를 봤을때, 환급받지 못하고 더 내게되면 연금저축에 대해 한번씩 고민해보게 됩니다. 연금저축 가입시 납입액의 12~15%를 세액공제 해준다는데, 과연 가입하는게 좋은것일까요?
연금저축 가입시 생각해봐야 할점에 대해 제 생각을 적어봤습니다.
1. 중도해지시 기타소득세를 공제한다..
연금저축은 장기가입을 전제로 세금혜택을 주고 있습니다. 그대신 중도해지시 불이익이 큽니다.
중도해지하면 15%(주민세포함 16.5%)를 기타소득세로 공제합니다. 예전에는 20%(주민세포함 22%)이었는데 세법이 개정되어서 손해가 약간 줄었습니다.
2. 사업비가 있다.
연금저축은 보통 보험회사에서 운영하는데, 사업비를 공제하고 나머지로 운영을 합니다.
연금저축통합공시 (http://www.fss.or.kr/fss/kr/popup/pension_info.html) 에서 사업비 등 을 확인해볼수가 있는데요.
제꺼를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
보시면 수수료는 6%대, 수익률은 3%대 입니다. 100만원을 입금하면 수수료 6만원을 공제한 94만원으로 운영해서, 3%의 수익을 얻은것입니다.계산해보면 100만×0.94×1.03 = 96.82
백만원을 보험사에서 운용한 결과가 96.82만원이네요.
수수료는 처음에는 공제하니, 장기로 가면 수익이 나긴 나겠지만, 손해보는 느낌입니다.
장기로 운용한 결과를 봐도 신통치는 않아요. 아래 과거적립율을 보시면 아는데요, 과거 적립률이란 조회시점으로부터 ~~년 전에 가입했을시, 조회시점의 총 납입원금 대비 적립금을 나타내는 것입니다. 위 표를 보면 5년 적립률이 103.57이니까 5년간의 투자수익률이 3.57%입니다. 제가 1년짜리 적금만 5년동안 가입만기를 반복해도 이것보다는 수익율이 좋았을겁니다.
3. 연금수령시 세금을 낸다.
연금저축은 55살 이후 연금수령이 가능한데, 이때 세율이 최대 5.5%~ 3.3%입니다. 연금액이 연1,200만원 초과하면 종합과세대상이 되어 세율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.
4. 나라면?
전 사회초년생들에게는 연금저축을 비추합니다. 세액공제만 보고 가입하기에는 수익률이 너무 않좋고, 돈이 너무 장기로 묶이게 되는 단점이 있거든요.
소득이 많은 분들도, 예전에 소득공제 해줄때라면 가입할만 했는데 요새는 별 매력 없다고 생각합니다.
'금융카드세금 등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알바와 4대보험. 특히 월 60시간(주15시간) 미만 근무자의 경우 (0) | 2017.04.17 |
---|---|
부동산 재산세 부과기준일은 언제? (0) | 2016.04.12 |
탄소포인트제도. (0) | 2016.02.15 |
소득금액 100만원 (0) | 2016.01.27 |
신용카드 중도해지와 연회비 반납 (0) | 2016.01.21 |